[명의 하이라이트] 배 속의 시한폭탄 '복부 대동맥류', 증상 없어 더 위험합니다 (원인, 자가진단, 예방법 총정리)
배 속의 시한폭탄 '복부 대동맥류', 증상 없어 더 위험합니다 (원인, 자가진단, 예방법 총정리) "어제까지 멀쩡하시던 분이 갑자기..." "평소에 어디 아프다는 말 한마디 없었는데..." 우리 주변에서 너무나 안타깝게 듣게 되는 이야기들. 이처럼 건강하던 사람의 생명을 순식간에 앗아가는 질환 뒤에는, 증상 없이 조용히 자라나는 '죽음의 그림자'가 숨어있을 수 있습니다. 바로 우리 몸의 가장 큰 혈관인 대동맥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다 터져버리는, '복부 대동맥류' 입니다. EBS '명의'에서도 경고했듯, 복부 대동맥류가 가장 무서운 이유는 파열되기 전까지는 특별한 증상이 거의 없다 는 점입니다. 통증도, 불편함도 없이 내 배 속에서 시한폭탄이 커지고 있는 셈입니다. 그리고 일단 파열되면, 생존율이 20%도 채 되지 않을 정도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합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'소리 없는 암살자'로 불리는 복부 대동맥류의 모든 것을 낱낱이 파헤쳐 보겠습니다. ① 왜 생기는지, ② 누가 특히 위험한지, ③ 혹시 나에게도 위험 신호가 있는지, ④ 그리고 어떻게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지 , 내 몸과 사랑하는 가족을 지키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건강 정보를 완벽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. 🩸 1. '복부 대동맥류'란 정확히 무엇인가요? 우리 몸의 중심에는 심장에서 뿜어져 나온 혈액을 온몸으로 보내주는 가장 크고 튼튼한 수도관, '대동맥(Aorta)' 이 있습니다. 이 대동맥이 가슴을 지나 배로 내려오는 부분을 '복부 대동맥' 이라고 부릅니다. 복부 대동맥류(Abdominal Aortic Aneurysm, AAA) 란,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이 복부 대동맥의 혈관벽이 약해지면서 정상 직경(약 2cm)의 1.5배 이상(보통 3cm 이상)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환을 말합니다. 시한폭탄에 비유하는 이유: 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