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술 잘 마시는 게 자랑"? '침묵의 장기' 간, 지방간에서 간암까지의 비극적 경로
"술 잘 마시는 게 자랑인 줄 알았는데..." "스트레스 풀려고 마신 술 한 잔이..." EBS '명의' 프로그램의 한 구절은 많은 한국인의 가슴을 철렁하게 만듭니다. 우리는 유독 '술자리' 문화에 관대하며, '주량(酒量)이 세다'는 것을 일종의 능력이나 자랑처럼 여겨왔습니다. 스트레스를 푼다는 명목으로, 혹은 "맛있는 거 다 먹다가" 곁들인 술 한 잔이 결국 "손 쓸 수 없이 망가진 간"이라는 비극을 부를 수 있다는 사실을 애써 외면하면서 말입니다. 😥 간(肝)은 우리 몸의 '화학 공장'이자 '침묵의 장기'입니다. 문제가 생겨도 좀처럼 비명을 지르지 않습니다. 하지만 그 침묵이 깨졌을 때는 이미 돌이킬 수 없는 '간경변(간경화)'이나 '간암'으로 진행된 경우가 많습니다. 오늘 이 글에서는 EBS '명의'의 경고를 바탕으로, 우리가 가진 위험한 착각과 '지방간'에서 '간암'에 이르는 비극의 시나리오, 그리고 소중한 간을 지킬 수 있는 골든타임에 대해 깊이 있게 다뤄보겠습니다. 🍷 1. '술 잘 마신다(주량 세다)'는 것의 잔인한 진실 가장 위험한 착각이 바로 "나는 술이 세서 괜찮아"라는 믿음입니다. 그것은 '건강'이 아닌 '내성'입니다 술을 잘 마신다는 것은 간이 건강해서 알코올을 완벽하게 분해한다는 뜻이 아닙니다. 뇌의 중추신경계가 알코올에 '둔감'해져(내성) 더 많은 알코올을 요구하는 상태일 뿐입니다. 간은 비명을 지르고 있습니다 주량이 센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많은 양의 술을, 더 자주 마시게 됩니다. 간이 분해할 수 있는 알코올의 총량은 정해져 있는데, 그 한계를 매번 넘어서는 것입니다. 간은 '괜찮아서'가 아니라, 70~80%가...